산업안전기사 실기 암기사항, 암기법 정리 3
1. 프레스의 방호장치에 관한 설명 중 ()안에 알맞은 내용, 수치 적기
- 1) 광전자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있어 정상작동 표시램프는 (녹색),
위험표시램프는 (붉은색)으로 하여 쉽게 근로자가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 2)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있어 누름버튼의 상호간 내측거리는 ( 300 )mm 이상이어야 한다.
- 3) 손쳐내기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있어 슬라이드 하행정거리의 (3/4) 위치 내에 손을 완전히 밀쳐내야 한다.
- 4) 수인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있어 수인끈의 재료는 합성섬유로 직경이 ( 4 )mm 이상이어야 한다.
2. 다음 설명에 맞는 프레스 및 전단기의 방호장치
- 1)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 정지할 수 있는 구조
광전자식(감응식) 방호장치
- 2)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 정지하고, 1행정1정지 기구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함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 3) 슬라이드 하행정거리의 3/4 위치에서 손을 완전히 밀어내야 함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 4) 손목밴드는 사용감이 좋으며 쉽게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이고, 수인끈은 작업자와 작업공정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수인식 방호장치
3. 감응식 방호장치를 설치한 프레스에서 광선을 차단한 후 200ms 후에 슬라이드가 정지하였다. 방호장치의 안전거리는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하는가?
D = 1600 * T
1600*0.2
320 mm
4. 클러치 맞물림개수 5개, 200[SPM] 동력 프레스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안전거리를 구하시오.
D = 1600 * T
T = (1/클러치개수 + 1/2)* (60/분당행정수)
T = (1/4+1/2)*(60/200) = 0.21
D = 1600 * 0.21 = 336mm
5. 광전자식 방호장치 프레스에 관한 설명 중 ()에 알맞은 내용 채우기
- 1) 프레스 또는 전단기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형태로서 투광부, 수광부, 컨트롤 부분으로 구성된 것으로, 신체의 일부가 광선을 차단하면 기계를 급정지시키는 방호장치로 ( A-1 ) 분류에 해당한다.
* 급정지기능이 없는 프레스 -> A-2
- 2) 정상동작표시램프는 ( 녹색 ), 위험표시램프는 ( 붉은색 )으로 하며, 쉽게 근로자가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 3) 방호장치는 릴레이,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의 고장, 전원전압의 변동 및 정전에 의해 슬라이드가 불시에 동작하지 않아야 하며, 사용전원전압의 +- ( 20% )의 변동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광전자식 A-1, A-2
**양수조작식 B-1, B-2
**가드식 C
**손쳐내기식 D
6. 롤러의 방호장치에 관한 사항
손 조작식 방호장치 설치위치 | 밑면에서 ( 1.8m ) 이내 |
복부 조작식 방호장치 설치위치 | 밑면에서 ( 0.8m ) 이상 ( 1.1m ) 이내 |
무릎 조작식 방호장치 설치위치 | 밑면에서 ( 0.6m ) 이내 |
7. 롤러기 급정지장치의 원주속도와 안전거리
30m/min 미만 > 앞면 롤러 원주의 1/3 이내
30m/min 이상 > 앞면 롤러 원주의 1/2.5 이내
8. 1000[rpm]으로 회전하는 롤러기의 앞면 롤러기 지름이 50[cm]인 경우 앞면 롤러의 표면속도와 관 규정에 따른 급정지거리[cm]를 구하시오.
1000rpm = 1000rev/min
D=0.5m
원주 = 0.5*pi(3.14) = 1.57m
1000rpm = 1570m/min > 30m/min 이상
1.57 * (1/2.5) = 0.628m
62.8cm
9. 동력식 수동대패의 방호장치의 명칭과 종류 2가지
명칭 | 날접촉방지장치(덮개) |
종류 | 1. 가동식 2. 고정식 |
10. 목재가공용 둥근톱의 분할 날이 갖추어야 할 사항
- 1) 분할 날의 두께는 둥근톱 두께의 ( 1.1배 ) 이상으로 한다.
- 2) 견고히 고정할 수 있으며 분할 날과 톱날 원주면과의 거리는 ( 12mm ) 이내로 조정,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 손가락 생각
- 3) 표준 테이블 면 상의 톱 뒷날의 ( 2/3 ) 이상을 덮도록 한다.
11.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캐리오버 현상(비수 현상)의 원인 4가지
- 1) 보일러수가 과잉 농축되었을 때
- 2) 열부하가 급격하게 변동해 증감될 때
- 3) 운전 중 수위조절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할 때
- 4) 보일러의 운전 압력을 너무 낮게 설정해 놓았을 때
**캐리오버 현상 : 보일러 찌꺼지 등이 보일러 증기에 혼입되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
12.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현상
보일러 수의 용해 고형물이나 현탁 고형물이 증기에 섞여 보일러 밖으로 튀어 나가는 현상 | 캐리오버 |
유지분이나 부유물 등에 의하여 보일러수의 비등과 함께 수면부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현상 | 포밍 |
13. 보일러 운전 중 프라이밍 발생원인 3가지
- 1) 보일러 관수의 과잉 농축
- 2) 주증기 밸브의 급개
- 3) 보일러 부하의 급변화
14. 보일러 폭발사고 예방하기위한 방호장치 3가지
방제수
1)압력방출장치
2)압력제한스위치
3)고저수위 조절장치
15.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이상 화학반응 밸브의 막힘 등 이상상태로 인한 압력상승으로 당해 설비의 최고사용압력을 구조적으로 초과할 우려가 있는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안전밸브 또는 파열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 때 반드시 파열판을 설치해야 하는 이유 3가지를 쓰시오.
1) 반응 폭주 등 급격한 압력 상승 우려가 있는 경우
2) 급성 독성물질의 누출로 인하여 주위의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
3) 운전 중 안전밸브에 이상 물질이 누적되어 안전밸브가 작동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는 경우
16. 산업안전보건법상 과압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폭발방지 성능과 규격을 갖춘 안전밸브 또는 파열판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3가지를 쓰시오.
압정정
1) 압력용기
2) 정변위 압축기
3) 정변위 펌프
17. [보기]의 안전밸브 형식표시사항 기술
[보기] SFII1-B
S | 요구성능 | S = 증기의 분출압력 G = 가스의 분출압력 |
|
F | 용량제한기구 | L = 양정식 F = 전량식 |
|
II | 호칭지름의 구분 | I : 25mm이하 II : 25-50 III : 50-80 IV : 80-100 V : 100초과 |
|
1 | 호칭압력의 구분 | 1MPa 이하 | |
B | 평형형 |
18. 사업주는 압력용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압력용기 등에 표시가 지워지지 않도록 각인 표시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표시사항 3가지 쓰시오.
1) 최고사용압력
2) 제조연월일
3) 제조회사명
암기법은 없고... 그냥 외워야할 것만 많은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