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짐량 2

일반기계기사 처짐량

보의 처짐을 나타내기 위해선탄성선 방정식으로 부터 유도합니다. 탄성선 방정식을 유도하는 법도 따로 있지만, 탄성선 방정식은 비교적 간단하기에 탄성선 방정식 유도부터 외우는 것은 비효율적이라 판단됩니다. 탄성선 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여기서 y는 보의 처짐(변위),x는 보의 축방향 위치,M(x)는 x 위치에서의 모멘트,E는 보의 재료에 따른 탄성계수(Young's Modulus),I는 보의 단면 2차 모멘트입니다.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의 처짐량과 외팔보에서 집중하중이 걸릴 때의 처짐량을 유도해보겠습니다. 에서 M(x)만 달리하여 두 번 적분하면 처짐량이 나옵니다. 외팔보에서 등분포하중이 있을 때의 M(x)는을 넣어 최대 처짐량을 구할 수 있는데,두 번 적분해보면로 유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

일반기계기사 2024.10.10

일반기계기사 부정정보

그림과 같은 부정정보가 등분포 하중( ω )을 받고 있을 때 B점의 반력 Rb 는? 지난 글에서 위 문제를 평형 방정식들 '만' 사용하여 풀이한결과 오답이 나왔고, 부정정보일 경우 어떠한 조건들이 있는지 찾아 보았습니다. 보통 부정정보일 경우, 부정정보를 여러개의 '보'(beam) 으로 나누어나누어진 부분의 경계 조건들에서 식을 하나 도출하여 풀이를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부정정보를 분석할 때, 생각해보아야 할 만한 조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1. 처짐량(Deflection, δ)처짐량은 부정정보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입니다. 처짐은 구조물의 특정 지점에서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구조물의 수직 이동)를 말합니다.처짐량은 하중의 크기, 위치, 구조물의 길이, 그리고 구조물의 재료 특성(탄성..

일반기계기사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