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실기

산업안전기사 실기 암기사항 정리 5

jstudyj 2025. 3. 4. 22:13

1. 보일링 현상 방지대책 3가지

보일링(Boiling) 현상 개념도

보일링 현상 발생원인

굴착저면 하부의 투수성이 좋은 사질지반
흙막이 벽체의 근입장 깊이 부족
흙막이 배면 지하수위 높이가 굴착저면 지하수위보다 높을 경우
굴착저면 하부의 피압수

 

 1) 굴착배면의 지하수위를 낮춘다.

 2) 토류벽의 근입 깊이를 깊게 한다.

 3) 토류벽 선단에 코어 및 필터층을 설치한다.

 * 차수성이 높은 토류벽(흙막이벽)을 설치하여 지하수의 흐름을 막는다.

 

2.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준수사항 3가지

 양분보

 1) 설계도서상의 콘크리트 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 동바리 등을 해체할 것

 2)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골고루 하여 타설할 것

 3)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거푸집 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충분한 강조치를 취할 것

 

3. 콘크리트 구조물로 옹벽을 축조할 경우, 필요한 안정조건을 3가지 쓰시오

 옹벽축조 활전지

 1) 활동에 대한 안정

 2) 전도에 대한 안정

 3)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

 

4.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하여야하는 사항 3가지

 1) 침하의 정도

 2)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3) 부재의 접속부·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5.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종류 4가지

 갱슬터클

 1) 갱폼

 2) 슬립폼

 3) 터널라이닝폼

 4) 클라이밍폼

 

6. 건물 해체작업 시 작업계획에 포함될 사항을 4가지 쓰시오.

 1) 해체의 방법 및 해체 순서 도면

 2) 해체물처분계획

 3) 가설설비·방호설비·환기설비살수·방화설비 등의 방법

 4) 사업장 내 연락방법

 

7. 기계설비의 근원적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화 방법

외기구보

 1) 외관의 안전화

 2) 기능의 안전화

 3) 구조의 안전화

 4) 보전작업의 안전화

 

8. Fail Safe 기능 3가지

PAO

 1) Fail Passive

 2) Fail Active

 3) Fail Operational

 

9. 다음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Fail Safe 기계나 그 부품에 고장이나 기능 불량이 생겨도 항상 안전하게 작동하는 구조 및 기능
Fool Proof 기계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나 기계의 위험성  등을 이해하지 못한 사람이라도 기계 조작 시 조작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으로 작업자가 기계 설비를 잘못 취급하더라도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

 

10. Fool Proof 기계·기구 3가지

 1) 가드(Guard)

 2) 인터록(Interlock)

 3) 크레인의 권과방지장치

*Trip, Overrun

 

11. 다음 기계설비에 형성되는 위험점을 쓰시오

협착점 왕복운동 + 고정부
끼임점 회전 또는 직선운동 + 고정부
절단점 회전운동 자체
물림점 회전운동 + 회전운동
접선물림점 회전운동 + 접선부
회전말림점 돌기회전부

 

12. 다음 보기의 위험점 정의를 쓰시오.

협착점 협착점이란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 혹은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된 부분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거나 물리는 현상
끼임점 끼임점이란 고정부분과 회전하는 동작부분이 함께 만드는 위험점
물림점 물림점이란 롤러기의 두 롤러 사이와 같이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체에 물려들어갈 위험이 있는 점
회전말림점 회전말림점이란 회전하는 드릴기계의 운동부 자체에 작업복 등이 말려들 위험이 존재하는 점

 

13. 기계의 원동기·회전축·기어·풀리·플라이휠·벨트 및 체인 등 근로자가 위험에 처할 우려가 있는 부위에 설치하여야 하는 방호장치를 3가지 쓰시오.

 1) 덮개

 2) 울

 3) 건널다리

 

14. 다음은 연삭숫돌에 관한 내용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사업주는 연삭숫돌을 사용하는 작업의 경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 1분 ) 이상, 연삭숫돌을 교체한 후에는 ( 3분 ) 이상 시험운전을 하고 해당 기계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15. 산업용 로봇의 작동범위에서 해당 로봇에 대하여 교시 등의 작업을 할 경우, 해당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련 지침을 정하여 그 지침에 따라 작업을 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에 관련 지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4가지를 쓰시오.(단, 기타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작동에 의한 위험방지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는 제외한다.)

 조매2신이조

 1) 로봇의 조작방법 및 순서

 2) 작업 중의 매니퓰레이터의 속도

 3) 2명 이상의 근로자에게 작업을 시킬 경우의 신호방법

 4) 이상을 발견한 경우의 조치

 

16.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용융고열물을 취급하는 설비를 내부에 설치한 건축물에 대하여 수증기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사항 2가지를 쓰시오.

 1) 바닥은 물이 고이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2) 지붕·벽·창 등은 빗물이 새어 들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17. 다음은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 채우시오.

 가) 발생기(이동식 아세틸렌용접장치의 발생기는 제외한다)의 ( 종류 ), ( 형식 ), ( 제작업체명 ), 매 시 평균 가스발생량 및 1회 카바이드 공급량을 발생기실 내의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할 것

 나) 발생기실에는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출입하는 것을 금지할 것

 다) 발생기에서 ( 5m ) 이내 또는 발생기실에서 ( 3m ) 이내의 장소에서는 흡연, 화기의 사용 또는 불꽃이 발생할 위험한 행위를 금지시킬 것

 

18.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빈칸 채우시오

 사업주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아세틸렌 발생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용의 발생기실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발생기실은 건물의 ( 최상층 )에 위치하여야 하며, 화기를 사용하는 설비로부터 ( 3m )를 초과하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발생기실을 옥외에 설치한 경우에는 그 개구부를 다른 건축물로부터 ( 1.5m ) 이상 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19. 보기의 가스 용기의 색채를 쓰시오.

산소 녹색
아세틸렌 황색
암모니아 백색
질소 회색

 

20. 방폭구조 기호

내압방폭구조 d
충전방폭구조 q
본질안전방폭구조 ia, ib
몰드방폭구조 m
비점화방폭구조 n

 

21. d IIA T4를 설명하시오

d 내압방폭구조
IIA 폭발등급
T4 온도등급

 

22. 다음 방폭구조의 표시를 쓰시오.

방폭구조 : 외부의 가스가 용기 내로 침입하여 폭발하더라도 용기는 그 압력에 견디고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착화될 우려가 없도록 만들어진 구조

그룹 : IIb

최고표면온도 : 90도

EX d IIb T5

 

23.  방폭부품에 대한 표시는 식별이 잘되는 지점에 표시해야 하는데, 소형 전기기기와 방폭부품의 경우, 표시크기를 줄일 수 있으나 이 경우 반드시 표시해야 할 최소 표시사항을 4가지 쓰시오.

 1) 제조자의 이름 또는 등록상표

 2) 형식

 3) 기호 Ex 및 방폭구조의 기호

 4) 인증서 발급기관의 이름 또는 마크, 합격번호

 

24.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전로의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가 양호하며 확실하게 작동하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상황 3가지

 1) 대지전압이 150볼트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2)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용 전기기계·기구

 3)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25. 전기기계·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가 ( 30 mA 이하 )이고 작동시간은 ( 0.03초 ) 이내 이어야한다.

 

26. 근로자가 작업이나 통행 등으로 인하여 전기기계, 기구 또는 전로 등의 충전부분에 접촉하거나 접근함으로써 감전 위험이 있는 충전부분에 대하여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방법을 3가지 쓰시오.

 1)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이 있는 구조로 할 것

 2) 충전부에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방호망이나 절연덮개를 설치할 것

 3)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쌀 것

 

27. 전압이 100[V] 충전부분에 물에 젖은 작업자의 손이 접촉되어 감전, 사망하였다. 이 때 인체에 흐른 1)심실세동전류[mA]를 구하고 2)통전시간[초]를 구하시오. (단, 인체의 저항은 5,000옴 으로 하고, 소수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 셋째자리까지 표기할 것)

V = IR

손 물에 젖으면 인체저항의 1/25 -> 5000/25 = 200

I = 100/200 = 0.5A = 500mA

I = 165/root(T)

T= (165/I)^2 = 0.109 s

 

28. 용접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전압이 300V인 충전부분이 물에 젖은 손이 접촉, 감전되어 사망하였다. 이때 인체에 통전된 심실세동전류[mA]와 통전시간[ms]을 계산하시오. (인체의 저항은 1000옴)

1000/25 = 40

I = 300/40 = 7.5A = 7500mA

T=(165/7500)^2 = 0.48ms

 

29. C.F.DALZIEL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심실세동을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J]를 구하시오. (통전시간은 1초, 인체의 전기저항은 500옴)

V=IR

E=VIT = I^2RT

I=165/root(T) [mA]

I=0.165/root(T) [A]

E= {0.165/root(T)}^2*500*1 = 13.6125 [J] = 13.61J